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기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청년도약계좌가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
특히 이 계좌의 **"납입한도"**는 청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 중 하나인데요.
오늘은 청년도약계좌 납입한도에 대해 소득 수준별, 정부 지원 포함 총 납입 가능 금액까지
하나하나 정확히 알려드릴게요.
🔍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~34세 청년이 최대 5년간 매월 납입하면
정부가 일정 금액을 지원금 형태로 보태주는 자산 형성 전용 계좌입니다.
💰 청년도약계좌 납입한도는 얼마인가요?
✔ 기본 납입한도: 월 70만 원
청년도약계좌는 매달 2만 원부터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.
다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, 소득에 따라 정부 지원금이 붙는 한도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.
👇 소득 수준별 납입한도 & 정부 기여금 차이
소득 수준(기준중위소득 대비) | 본이 납입 최대액 | 정부 기여금 | 총 수령 가능액 (5년 기준) |
50% 이하 | 월 40만 원 | 최대 30만 원 | 약 5,000만 원 이상 가능 |
50~100% | 월 50만 원 | 최대 20만 원 | 약 4,000만 원 이상 가능 |
100~140% | 월 60만 원 | 최대 10만 원 | 약 3,500만 원 가능 |
140% 초과 | 월 70만 원 | 정부지원 없음 | 순수 적립형 (이자 혜택만) |
👉 예를 들어 연소득 2,400만 원 이하인 청년이라면, 매달 40만 원만 넣어도 정부가 30만 원을 더해줍니다.
🧮 총 납입액 계산 예시
- 정부 지원을 받는 경우(소득 50% 이하)
→ 본인 월 40만 원 × 60개월 = 2,400만 원
→ 정부 지원 월 30만 원 × 60개월 = 1,800만 원
→ 총 적립액 약 4,200만 원 + 이자 - 정부 지원 없이 납입하는 경우(고소득층)
→ 월 70만 원 × 60개월 = 4,200만 원
→ 순수 적립금 + 이자만 발생
📌 유의사항 꼭 체크!
- 중도해지 시 정부 지원금은 회수됩니다.
- 매월 꾸준한 납입이 핵심입니다. 중도 납입 실패 시 일부 혜택 제한될 수 있어요.
- 자동이체 설정으로 납입 습관을 잡는 게 중요합니다.
✅ 청년도약계좌, 이런 분에게 추천!
- 일정한 수입이 있는 청년 (근로소득자 or 사업소득자)
- 장기 저축이 가능한 사람
- 목돈 마련이 필요한 결혼/내집마련 준비 중인 청년
🎯 마무리하며
청년도약계좌의 납입한도는 단순히 "얼마까지 낼 수 있느냐"보다
"정부가 얼마나 더 얹어줄 수 있느냐"가 핵심입니다.
소득 조건에 따라 한도가 다르니, 가입 전 꼭 소득 기준 확인 후 시작하세요.
정부 지원을 극대화해 5년 뒤 최대 5천만 원 가까운 목돈,
청년도약계좌로 차근차근 준비해보세요!